생활코딩 GIT3 - CLI 백업 수업을 듣고 작성한 글입니다.
해당 수업은 아래와 같은 내용을 알아야 진행할 수 있습니다.
1.저장소 만드는 법
2.버전을 만드는 법
3.버전을 열람하는 법
4.버전을 수정하고 삭제하는 법
저장소를 만들었을 때, git은 버전을 .git이라는 숨김디렉토리에 보관합니다.
.git 디렉토리를 Onedrive, Dropbox 등에 보관함으로써, 좀 더 확실한 Backup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에 연결 된 컴퓨터 한 대, 한대를 host라고 부릅니다.
인터넷서비스 중에는 hosting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있는 서비스들이 있는데, 이러한 서비스들은 인터넷에 연결되어서 원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버를 임대하주는 서비스를 hosting이라고 합니다.
git hosting이란 우리가 작업하고있는 local 저장소의 버전을 업로드할 원격 저장소를 임대해주는 비지니스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비지니스를 이용하면, 우리는 간편하게, 특별한 지식이 없이도, 백업서버인 원격 저장소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git hosting 중 github와 gitlab을 이용해서, backup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용어 정리]
백업을 하기 위해서는 최소 2대의 컴퓨터가 필요합니다.
1.여기서, 내가 직접 작업하는 컴퓨터를 local repository(지역저장소)
2.작업한 내용을 업로드해서 지역저장소와 똑같은 상태를 유지하는 컴퓨터에 설치되어있는 저장소를
remote repository(원격저장소)
3.지역저장소에서 PUSH라는 것을 하게되면, 원격저장소로 업로드 된다.이 것을 통해서 backup을 달성할 수 있다.
백업이라는 것은 복원을 할 수 있어야하고, 복원이 가능하다면 굉장히 효율적일 수 있다.
4. 새로운 지역 저장소에 원격저장소의 버전을 복제하는 것을 CLONE이라고 부른다.
5. 새로운 지역 저장소에서 원격저장소에 PUSH를 하게되면 동일한 버전을 갖게되고, 기존 지역 저장소에서 원격저장소의 버전을 땡겨오는 거을 PULL 이라고 한다.
6. 작업 전 PULL, 작업 후 PUSH, 새로운 지역 저장소에 버전을 가져올 때 CLONE을 하게되면, 같은 버전을 서로 공유할 수 있게 된다.
[git hosting]
여러가지 git hosting 서비스들이 존재하지만, github와 gitlab에 대해서 강의는 소개하고 있다.
open source에 대해서 무료이고, 용량 제한이 없다는 것, 비공개 저장소에 대한 무료제공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Public Git hosting sites
[저장소 생성]
github.com, gitlab.com 모두 가입을 진행하고, 로그인을 진행한다.
별도로 가입과 로그인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지만, 요청이 있으면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github는 New repository 찾아서 누르면 저장소를 만들 수 있고,
gitlab는 가입 시 저장소를 바로 만들어주는데, 추가로 만들어도 아무 문제가 없다.
저장소를 만들 경우 public으로 만들고, 비공개가 필요할 경우 private으로 한다.
github에서는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 글에서 원격저장소와 연결, git에서의 처리에 대해서 글을 작성해보겠습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CLI - 협업 (1) | 2024.01.14 |
---|---|
GIT CLI - Backup(github연결,push,clone,pull) (0) | 2024.01.14 |
GIT CLI - reset vs checkout (0) | 2024.01.14 |
GIT CLI - Conflict, 3 way merge, p4merge (1) | 2024.01.14 |
GIT CLI - Branch & Conflict(기본사용법) (0) | 2024.01.14 |